umask는 vi /etc/bashrc를 보면 확인가능하다.
#CentOS7 기준 Line 70~74
70 if [ $UID -gt 199 ] && [ "`/usr/bin/id -gn`" = "`/usr/bin/id -un`" ]; then
71 umask 002 #일반유저
72 else
73 umask 022 #root
74 fi
- 만약 일반유저 umask값을 변경하고싶다면 위 umask값을 변경하면 된다.
- umask는 4자리로출력한다.
우선 뒤에서 3자리를 먼저 알아봐야한다.
#해당 접속 계정
[user1@testserver ~]$ whoami
user1
[user1@testserver ~]$ id
uid=1003(user1) gid=1004(user1) groups=1004(user1) context=unconfined_u:unconfined_r:unconfined_t:s0-s0:c0.c1023
#umask값 확인.
[user1@testserver ~]$ umask
0002
#umask 0002로 디렉토리 생성.
[user1@testserver ~]$ mkdir testdir
#파일 생성.
[user1@testserver ~]$ touch test.txt
#생성된 권한 확인.
[user1@testserver ~]$ ls -ahil
~~~~<생략>~~~~
33740466 drwxrwxr-x. 2 user1 user1 6 11월 29 00:13 testdir #775
16778528 -rw-rw-r--. 1 user1 user1 0 11월 29 00:15 test.txt #664
특수 허가권한 (SetUID, SetGID, Sticky bit)
SetUID 4000
- 소유자만 접근 가능한 파일에 일반유저로 접근 필요시
rws rwx rwx 의 권한을 갖는다. 앞에 rws를 보면 x대신 s가 들어간것을 확인할수 있다.
SetGID 2000
-소유 그룹만 접근 가능한 파일에 일반유저로 접근이 필요할 떄
rwx rws rwx 의 권한을 갖는다. 중간에 rws를 보면 x대신 s가 들어간것을 확인할수 있다.
Sticky bit 1000
- 파일 및 디렉토리 생성은 누가나 가능하지만 삭제는 생성한 유저만 디렉토리 소유자만 가능하다.
rwx rwx rwt의 권한을 갖느다. 마지막 rwt를 보면 x대신 t가 들어간것을 확인할수 있다.
위 값을 조합해 umask 명령을 입력하면 4자리 수가 나오는 것이다.
root는 default umask 0022이다.
댓글 영역